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pringBoot (JAVA)

[SpringBoot] SpringBoot를 이용하여 MS-SQL에 이미지 저장하기 서비스 로직 생성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File;import java.io.IOException;@Servicepublic class ImageService { private final ImageRepository imageRepository; public ImageService(ImageRepository imageRepository) { this.imageRepository = imageRepository; } public Image saveImage(MultipartFile file) throws IOException.. 더보기
[SpringBoot] SpringBoot를 이용하여 MS-SQL에 사용자정의 테이블 이용하기 1. Spring Boot에서 API 구현1.1 Maven/Gradle 의존성 추가Spring Boot에서 MSSQL과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JDBC 드라이버를 추가합니다. com.microsoft.sqlserver mssql-jdbc 12.2.0.jre11 1.2 DTO 및 Repository 정의사용자 정의 테이블 타입을 표현할 DTO와 저장 프로시저 호출 로직을 작성합니다.@Data // Lombok for getter/setter@AllArgsConstructor@NoArgsConstructorpublic class UserDTO {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Repository에 SimpleJ.. 더보기
SpringBoot 를 IIS에 배포하기 SpringBoot 서비스를 .jar 로 빌드 하면 서비스 운영에 여러 방법이 있다. 나는 IIS, NginX 두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NginX는 윈도우 서비스에 서버를 올리는 방법이고 IIS는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라고 보통 웹서비스 운영 시 많이 사용 한다. 현재 서버는 localhost:8088, 8089로 운영 중이다.해당 서버를 도메인, 외부ip에 연결 하려고 작업을 하는 것이다. IIS에 URL 재작성에  아래 사진과 같이 등록한다.    무중단 배포를 위해 두 서비스가 같은 도메인으로 동작 시켰다. 더보기
NginX 를 이용한 무중단배포 API서버를 운영하면 수정 후 재시작 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에 그냥 재시작을 하게되면 현재 연결되어있는 사람들에게는 에러가 뜨게된다 그리고 재시작 하는 몇초 사이엔 서버에 접속 할 수가 없다 그렇기 떄문에 무중단 배포를 해야한다. 아래의 소스는 NginX 의 nginx.conf 파일 내용이다 서버 교체가 필요할떄마다 location의 주석을 변경하여 포트를 바꿔준다 이렇게 하면 항상 서버 2개가 켜져있고  도메인으로 접속했을떄 location에서 가리키고있는 서버를 연결해준다 #user nobody;worker_processes 1;#error_log logs/error.log;#error_log logs/error.log notice;#error_log logs/error.log .. 더보기
NSSM을 이용한 .jar 서비스 등록 스프링부트로 서비스를 만들었다 그러나 스프링부트를 항상 띄워놓지않으면 서비스 구동을 하지 못했다 그래서 nssm 을 이용한다 nssm.exe 가 있는 경로에서 cmd창을 띄운 후 nssm install api명칭 C:\openjdk\jdk-19\bin\java.exe -jar D:\test\api-0.0.1.jar 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서비스가 등록된다 nssm start api명칭 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 한다 nssm 명령어로 내가 자주 사용하는것에는 start, restart, remove 이 있다 그 외에 더 있는데 난 잘 사용하지 않는다. 더보기
NginX 서버에서 CORS 에러 처리하기: 자세한 가이드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보안 정책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NginX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는 경우, CORS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NginX 서버에서 CORS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CORS 에러 이해하기 CORS 에러는 다른 도메인에서 온 리소스에 접근하는 경우, 브라우저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서버 측에서 적절한 설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2. NginX 설정 파일 수정 NginX 설정 파일을 열어 CORS 에러 처리를 위한 설정을 추가합니다. 일반적으로 /etc/nginx/nginx.conf 또는 /e.. 더보기

반응형